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8)
평행 이론 - 삶의 패턴들 평행 이론은 흔히 말도 안되는 낭설로 치부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평행이론에 흥미를 보이는 이유는 거기에 진실로 들어가는 약간의 경험적 관찰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몇 십년전, 혹은 몇 백년 전 죽은 사람과 똑같은 삶의 루트를 밟는다는 게 상식적으로 말이 될까. 링컨과 케네디가 둘 다 암살되었다고 해서 다른 삶의 궤적마저 유사할까? 그러나 이런 질문은 어떨까. 우리의 삶이 구조적으로 패턴화되어 있다면? 즉 우리가 무한한 선택지를 무한한 조합으로 이끌어 가는 게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 한정된 선택지와 루트를 따라가는 것과 같다면, 마치 평행 이론인것처럼 보이는 경우의 수가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우선, 극단적인 평행이론적 사례를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일벌의 삶이다. 일벌..
진짜 영어를 잘하는 비법 - 블록을 이해하자 블록이란 게 기존의 패턴 암기랑 어떻게 다른 것인가요, 라고 묻는 사람이 있다. 많이 다르다. Would you like something to drink? 이라는 문장을 암기하고, 밑줄친 부분을 활용해서 would you like something to eat? 이라는 문장을 말했다고 치자. 오, 저 앞부분은 상대방에게 권유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말이니까 누군가에게 뭔가를 권유할 때는 저 표현을 써야겠다. 라고 생각할 것이다. 크게 잘못된 건 없다. 다만, 이렇게 1대1 결합으로 패턴을 암기하는 방식은 활용도가 떨어진다. 사실 저 문장에서 블록에 주목한다면, 오히려 뒷부분 그러니까, something to drink부분이 백배는 중요하다. 한국어가 개념을 수식하는 방식은 철저하게 순차적이다(약간의 예외..
기본 블록 - Sure sure라는 단어의 뜻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이 단어를 잘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적어도 한국인 중에서는. sure 기본적인 의미를 형성하는 블록 의미 중의 하나다. 기본 블록들은 대개 발음이 짧다. 그리고 전문화되고 의미 위계의 하위 단계로 구체화되어 갈수록 단어가 길어진다. 이는 조금만 생각해보면 당연한 사실이다. 언어의 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추측해보면, 처음에는 주변에 꼭 필요한 것들을 지칭하는 단순한 형태의 발성+의미의 결합으로 언어가 조직화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영어 공부를 할 때는 다음절 어 대신 단음절어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 대체로 이쪽이 단단하지 않아서 발전이 없는 경우가 많다. 아래 예문들을 보자. I am sure you've heard something li..
세쌍둥이 사주 짧은 소고. 구해줘 홈즈를 보다가 세 쌍둥이 자매가 집을 구한다는 회차를 보았다. 흥미로운 지점은 세쌍둥이가 모두 "공사"에 다니고 있었다는 점. 수자원, 전력, 지역난방 공사였나 그랬다. 이란성 쌍둥이인 쪽만 울산에선가 근무중이었고, 다른 일란성 쌍둥이들은 경기도 쪽에서 근무중. 직업이나 직장을 결정하는 게 주로 관官이니까, 역으로 추정을 하면, 이 쌍둥이들은 관이 꽤 잘생긴 사주라 할것이다. 시간도 1분텀이라고 하니 시時까지 같을 것이다. (약간 달라도 거의 의미가 없을 듯) 관인상생이 비교적 잘 이루어진 사주 일 거고, 관은 아마 정관正官일 테지. 정관은 주로 공직(public service)과 관련된 일을 한다고 본다. 옛날 말로는 벼슬길에 나아간다, 고 했지만, 요새는 보면 꼭 벼슬은 아니어도 ..
이석원, 에세이스트 블로그명: 글을 위한 글 블로그 주인: 이석원. 언니네이발관 리더 겸 보컬이었다가 밴드 해체 후, 전업작가가 됨. 밴드 시절부터 언니네이발관 홈페이지에 쓰는 일기로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글을 재밌게 쓰는 뮤지션으로 알려져 있었음. 블로그 주소: https://blog.naver.com/dearholmes 글을 위한 글 : 네이버 블로그 나이탐험가 blog.naver.com 에세이스트라고 직업을 소개했지만, 이게 맞는지는 잘 모르겠는 게, 블로그에 올라오는 글은 정말 신변 잡기적인 글들, 드라마 감상, 친구 만난 얘기 등등 이기 때문이다. 책이랑 비슷한 스타일의 글 같기도 하고. 언니네 이발관의 몇몇 노래는 좋아했다. 지금도 멜로디가 떠오르는 곡들이 몇 개인가 있다. 첫번째 앨범이 비둘기는 하늘의 쥐 인..
오디오북으로 영어 공부하는 법1 미드로 영어 공부하기, 같은 책은 많다. 미드에 나오는 영화 대사를 중심으로 주요 표현을 학습하고 이를 암기하고 활용하는 방식이다. 나도 해봤다. 근데 이 방식은 메인으로 쓸만한 방법은 아니라는 게 내 결론이다. 이유는 단순하다. 대사 중심의 암기 방식은 우리 뇌가 세계를 인지하는 주요 방식 즉 스토리 텔링과 잘 안맞기 때문이다. 간단한 여행회화 정도라면 저런 방식의 학습이 투입되는 시간/노력 대비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언어의 주된 역할이 인간 개체의 자아 정체성 형성이라는 점을 망각한 탓에 저지르는 오류다. 우리는 언어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story)를 만들어간다. 경험은 단지 wow, that's awesome! 같은 단편적인 감탄사의 조합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질문-대답 형식을..
건강의 기본 원칙- 밥, 잠, 똥 사람이 건강하게 사는 원리는 간단하다.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면 된다. 즉 몸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기능을 점검하면 된다(三生而萬物). 소화Digestion, 수면 Sleep, 배설Excretion 역으로 말하면, 이 세 가지 중 어느 하나라도 문제가 있다면, 건강 검진 결과와 상관없이 몸이 안 좋은 것이다. 1. 잠 Sleep 최근에는 Why we sleep 같은 책을 통해 수면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었지만, 사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잠을 양(시간)적인 요소로 받아들인다. 어찌되었든 7시간만 자면 된다는 식으로. 그러나 인간이 잠을 자는 이유는 생물학적으로 주행성 동물이기 때문이며 이 시스템은 어림잡아 몇 억년은 유지된 것으로 이를 거부하면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 않는다. 밤에 ..
음양과 오행은 다른 개념이다 음양은 陰陽이라고 쓰고 영어로는 Yin and Yang이라고 한다. 오행은 五行이라고 쓰고 Five Elements로 흔히 표현한다. 유교문명에서는 음양오행이라고 붙여쓰는 경우가 흔하며, 하나의 관념적 성향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때가 많다. 그러나 이 둘은 전혀 다른 개념이다. 음양은 짝수로, 즉 세상을 2로 쪼개어 보는 방법이다. 심플하고 고대로부터 내려져 오는 지혜다. 어느 문명권에서나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음양 이론의 적장자는 주역周易이다. 주역은 64괘(2*2*2*2*2*2)로 사물의 패턴을 직조한다. 이분법이다. 사상의학도 주역의 자손이다. (태양,태음,소양,소음은 주역에서 나오는 용어다, 큰 양 /작은 양/ 큰 음/ 작은 음). 현상 귀에 이를 지배하는 실체(substance)가 존..
융합의 눈 - 세계의 시작 1.1 이 세계는 우리에게 주어진다. 우리의 몸, 정신, 언어, 관계, 커뮤니티, 전통, 문화, 사상 우리가 살아가기 위한 초기 세팅(default)은 우리의 의사와 상관없이 혹은 의사에 반해(regardless of or against our will) 선존(先存)한다. The World was given. What we have now such as our body,relationships, minds, communites, culture, traditons, thoughts al most evrything has preoccupied the world around us, regardless of or against our will. 1.2 이 세계의 선존성을 이해하는 도구는 우리에게 내장되어 있다...
성대구증 치료기 나는 성대 구증이다. 성대 구증에서 '구'는 도랑처럼 홈이 파였다는 뜻의 한자라고 한다. 풀어 쓰면, 성대에 도랑처럼 홈이 파인 증상의 질환을 말한다. 아직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흔히 쇳소리, 쉰 목소리가 나는 사람을 떠올리면 된다. 내가 처음 이 증상을 자각하게 된 것은 신기하게도 대학생이 되어, 노래방에 가서였다. 그 전에는 나의 목소리가 이상하다거나 쉰소리가 난다고 말한 사람이 없었다. 어쩌면 어릴 적에는 얇고 높은 소리를 위주로 내어서 그랬던 걸까. 아무튼 내가 깨닫게 된 계기는 이렇다. 노래방에서 고음을 내려고 했는데 고음이 안났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가성이 안났던 것"이다. 가성은 V자로 벌어진 성대가 부드럽게 접촉을 유지하면서 나는 소리인데, 구증이 있는 사람은 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