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주 - 사서와 육경 속 논어의 위치
3.2 시라카와 시즈카는 에 대한 텍스트 비평적인 관점에서 의 자료를 8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그는 이것을 유가사상의 추이와 관련지어 설명하는데, 1자료는 공자의 망명기간에 고행을 함께한 자로,안회,자공, 염유등의 자료로, 공자사후에 복상하는 기간에 기록을 정리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자공의 자료를 2자료, 공자의 사후 교단이 분열되어 자유,자하,자장의 세유파가 대립하던 시기의 자료를 3자료, 맹자시대까지 이어진 유자와 증자의 대립시기의 자료를 4자료, 공자의 일상생활을 의례화한 편의 자료를 5자료, 직하학파의 손을 거친 듯한 편의 자료를 6자료, 고대의 제왕,일민을 주제로 한 자료와 편등의 자료를 7,8자료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는 반드시 시대적인 구분을 따르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3.2.1 시라카와..
관물편 - 조선의 반려견 사랑
그림자를 쫓는 개, 이익의 눈물 내가 기르던 개가, 어느 날 미친개에게 물리더니만 갑자기 독이 발작해서 역시 미쳐버렸다. 다시 다른 개를 물었고, 물 때마다 다른 개도 미쳐버렸다. 이에 온 마을의 개들이 모두 미쳐 여기저기를 떠돌아 다녔고 온전한 놈은 없었던 것 같다. 내가 말했다. “개가 미친 건 이미 일어난 일이라고 쳐도, 혹시라도 사람을 물어 사람이 미쳐버릴까 두렵구나.” 翁畜狗, 一日爲猘犬所噬, 俄而毒發亦狂. 又噬他狗, 輒噬輒狂. 於是村狗皆狂, 遊走遠近, 蓋無全者. 翁曰: “狗之狂猶可, 或恐噬人而人狂.” 이익, 『관물편』, 45칙 이익의 목소리는 낮고 조용하다. 마치 영화 『사일런트 힐(Silent Hill)』의 서두에 깔리는 나레이션 같다. 이어서 뿌연 안개가 관객의 시야를 가리고, 먼 곳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