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의눈/셜록홈즈되기 (4) 썸네일형 리스트형 4 추리의 구조 4. 추리의 구조란 무엇인가. 그것은 인간의 이성이 사물/사람을 관찰하고 정보를 얻고 판단을 내리는 일련의 과정이 특정한 패턴을 따른다는 점을 압축적으로 표현한 개념이다. 4.1 구조를 이해하면 우리는 우리를 둘러싼 환경을 고해상도(Higher Resolution)로 볼 수 있다. 4.1.1 구조 자체는 추상화된 개념이다. 따라서 저해상도(Low Resolution)다. 캐리커처, 교통표지판, 문자, 숫자 등등이 이런 추상화된 상징이다. 그러나 실제(reality)는 너무나 복잡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추상화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다룰 수 있다. 그것이 우리의 뇌(brain)가 하는 일이다. 4.2 최근의 뇌과학에 따르면 우리의 뇌는 의식적 통제 가능한 과정(cotrolled process)과 무의식적인.. 3 배치를 보는 눈 3.1 생각하고 그 생각의 과정을 구체적인 문장의 형태로 옮기는 일을 좋아한다. 생각의 대상은 그때그때 다르다. 사람일 때도 신문에 난 사건일 때도 있다. 물론 대상에 따라 생각의 경로도 달라진다. 3.2 처음 자신 만의 프로파일링을 구상했을 때에는 사물에 대한 지식에 초점을 뒀다. 하지만 이내 그것이 상당히 요원함을 깨달았다. 홈즈가 활약하던 시대와 달리 대상에 관한 지식은 무한에 가까워졌다. 게다가 또 하나의 계기가 있었다. 얼마전 본 티비 프로 덕분. 그때 순간 깨달았다. 사물에 대한 지식, 지식에 대한 지식 모두 중요하겠지만, 중요한 지점에서 생각이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지식에 대한 지식'이라는 점을. 3.3 내가 말하는 지식에 대한 지식은 예를 들자면 "책상의 배치"와 비슷한 것.. 2 추리학의 1원칙 - 이야기를 써내려가라 2.1 일상에 대한 가추법적 이해는 어디에서 시작되어야 할까. 우리는 여러 갈래의 복잡다단한 테코놀로지와 방법론 사이에서 하나의 크고 넓은 대로를 닦는 일에 착수할 것이다. 그것은 “소설”이다. 2.1.1 추리학의 기초가 되는 훈련으로 “소설”을 선택한 것은 의외일지도 모르나 놀라운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 탐정의 대명사 셜록 홈즈 그 자신이 이미 소설 속의 인물이라는 사실이다. 그 외에 수많은 탐정들이 모두 소설 속 인물이다. 2.1.2 소설을 읽는다. 그것은 “이야기”를 읽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여자가 지나가는데 삼겹살 냄새가 강하게 난다. 그럼 어떤 추론이 가능할까. 회식을 했을 수 있겠다. 시간대가 저녁이고 여성의 얼굴이 불그스레하게 취기가 올랐다면 더욱 그럴 듯한 추론이 될 것이다. 그녀를.. 1 추리 기법 개발을 위한 개략 1.1 퍼스(Charles Sanders Pierce, 1839-1914)라는 사람이 있다. 소쉬르와 비슷한 시기에 살다간 기호학자이자 철학자이며 근대 미국의 프래그머티즘을 있게 한 장본인. 그러나 생전에 가난과 불명예에 시달리다가 죽어가야 했다. 그의 저작은 아직도 전부 출간이 되지 않은 채 그의 명성을 아는 학자들에 의해 마치 비전마냥 공유되어 왔다. 1.2 그런 그가 생전에 가추법이라고 하는 인간의 논증방식에 대해 글을 남겼으며, 그러한 가추법이 인간의 기본적인 지식형성의 토대가 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전문가 가운데도 드문 듯하다. 인간사랑이라는 출파사에서 이라는 이름으로 에코를 비롯한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홈즈와 퍼스의 가추법을 연관지어 이해하는 일련의 논문들이 출간되었으나, 현재는 절판된 상..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