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융합의눈

(19)
라캉 관련 번역서 1 라캉 관련 포스팅에 앞서 관련 번역서들을 정리해보았다. 카타오카 이치타케 “라캉은 정신분석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http://aladin.kr/p/UMx9f 브루스 핑크 “라캉과 정신의학” http://aladin.kr/p/QFrtb 라캉은 정신분석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정신분석을 창시하고 그 이론을 확립시킨 프로이트를 발판 삼아 정신분석을 재해석하고 현대적으로 부활시킨 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정신분석을 살펴본 책이다. www.aladin.co.kr 라캉과 정신의학 저자 브루스 핑크는 슬라보예 지젝과 함께 영미권에서 대표적인 라캉 연구자로 손꼽히고 있는 학자로, 이 책은 이제껏 아카데믹한 인문학적 담론 가운데서 주로 논의되던 라캉의 사상을 정신분석 임상이라는 차원에... www.aladin.co..
조용한 광기의 관찰 대리언 리더의 "광기"는 라캉주의 정신분석학자가 지금은 임상에서 거의 사라진 "조용한 광기"의 정체에 대해 고찰한다. 현대인의 정신병에 대한 고착된 이미지는 과장된 행동, 한 눈 에도 정상이 아닌 것처럼 보이는 말투, 튀는 몰골 같은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라캉과 그 선구자들이 발견, 관찰하여 기록으로 남기고 리더가 예증을 들어가며 논증하고 있는 사례들은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한 그러나 명백한 광기를 띈 정신병에 대한 이야기다. 라캉의 이론 혹은 가설은 현대의 정시느이학계에서는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특히 그가 주창한 거울단계(아이가 특정 나이가 되면 거울을 통해 발견한 자신의 이미지를 통해 운동 기능을 획득한다고 하는 가설)에 대해서는 실험적으로 전혀 근거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오히려 ..
주역 둔괘의 해석- 괘사를 중심으로 주역은 64괘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첫번째가 건괘, 두번째가 곤괘로 모두 양, 모두 음을 뜻하는 괘다. 그리고 그에 이어 3번째로 등장하는 괘가 둔괘다. 둔은 주둔한다는 의미도 있고, 고대에는 창고라는 의미로도 쓰인 글자다. 그런데 대체적으로 주역에서는 혼돈(Chaos)로 해석한다. 성경의 창세기 1장 1절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였다는 이야기로 시작한다(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주역의 건괘와 곤괘에 해당한다. 하지만 땅이 텅 비고 형상이 없었다는 이야기가 뒤이어 나오는데, 이것이 둔괘의 상과 유사하다. 진화적으로 보면, 인간의 인지 능력이 언어의 도움을 받아 급속도로 발달하기 시작할 무렵, 인간은 주위의 환경을 다른 동물들과는 다..
전체를 보는 방법 A crude look at the Whole "전체를 보는 방법"을 읽으며 행동 패턴에 대한 유용한 분석 도구를 몇 가지 건졌다. 우선 상기 다이어그램은 책의 내용 일부를 마인드맵 형식으로 요약한 자료다. 인간의 행동 패턴은 복잡계적 현상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그것이 환원주의적 분석으로 이해되는 범위를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류는 저 장구한 생물학적 진화의 시간동안 서로를 관찰하면서 행동 패턴에 대한 정교한 대답을 만들어 왔고 현재도 진행중이다. 우리는 끊임없이 우리 자신들에게 우리가 어떤 존재이며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는지 이야기를 하는 수다스런 존재들이다. 고전은 말한다. 무엇이 옳은 행동인가. "주역"을 해석하는 입장 두 가지 중 의리역은 바로 주역의 괘상을 인간행동 패턴의 규칙성, 한계성으로 설명하는 시도다. 인간의 대뇌가 좌우뇌로..
평행 이론 - 삶의 패턴들 평행 이론은 흔히 말도 안되는 낭설로 치부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평행이론에 흥미를 보이는 이유는 거기에 진실로 들어가는 약간의 경험적 관찰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몇 십년전, 혹은 몇 백년 전 죽은 사람과 똑같은 삶의 루트를 밟는다는 게 상식적으로 말이 될까. 링컨과 케네디가 둘 다 암살되었다고 해서 다른 삶의 궤적마저 유사할까? 그러나 이런 질문은 어떨까. 우리의 삶이 구조적으로 패턴화되어 있다면? 즉 우리가 무한한 선택지를 무한한 조합으로 이끌어 가는 게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 한정된 선택지와 루트를 따라가는 것과 같다면, 마치 평행 이론인것처럼 보이는 경우의 수가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우선, 극단적인 평행이론적 사례를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일벌의 삶이다. 일벌..
세쌍둥이 사주 짧은 소고. 구해줘 홈즈를 보다가 세 쌍둥이 자매가 집을 구한다는 회차를 보았다. 흥미로운 지점은 세쌍둥이가 모두 "공사"에 다니고 있었다는 점. 수자원, 전력, 지역난방 공사였나 그랬다. 이란성 쌍둥이인 쪽만 울산에선가 근무중이었고, 다른 일란성 쌍둥이들은 경기도 쪽에서 근무중. 직업이나 직장을 결정하는 게 주로 관官이니까, 역으로 추정을 하면, 이 쌍둥이들은 관이 꽤 잘생긴 사주라 할것이다. 시간도 1분텀이라고 하니 시時까지 같을 것이다. (약간 달라도 거의 의미가 없을 듯) 관인상생이 비교적 잘 이루어진 사주 일 거고, 관은 아마 정관正官일 테지. 정관은 주로 공직(public service)과 관련된 일을 한다고 본다. 옛날 말로는 벼슬길에 나아간다, 고 했지만, 요새는 보면 꼭 벼슬은 아니어도 ..
건강의 기본 원칙- 밥, 잠, 똥 사람이 건강하게 사는 원리는 간단하다.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면 된다. 즉 몸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기능을 점검하면 된다(三生而萬物). 소화Digestion, 수면 Sleep, 배설Excretion 역으로 말하면, 이 세 가지 중 어느 하나라도 문제가 있다면, 건강 검진 결과와 상관없이 몸이 안 좋은 것이다. 1. 잠 Sleep 최근에는 Why we sleep 같은 책을 통해 수면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었지만, 사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잠을 양(시간)적인 요소로 받아들인다. 어찌되었든 7시간만 자면 된다는 식으로. 그러나 인간이 잠을 자는 이유는 생물학적으로 주행성 동물이기 때문이며 이 시스템은 어림잡아 몇 억년은 유지된 것으로 이를 거부하면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 않는다. 밤에 ..
음양과 오행은 다른 개념이다 음양은 陰陽이라고 쓰고 영어로는 Yin and Yang이라고 한다. 오행은 五行이라고 쓰고 Five Elements로 흔히 표현한다. 유교문명에서는 음양오행이라고 붙여쓰는 경우가 흔하며, 하나의 관념적 성향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때가 많다. 그러나 이 둘은 전혀 다른 개념이다. 음양은 짝수로, 즉 세상을 2로 쪼개어 보는 방법이다. 심플하고 고대로부터 내려져 오는 지혜다. 어느 문명권에서나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음양 이론의 적장자는 주역周易이다. 주역은 64괘(2*2*2*2*2*2)로 사물의 패턴을 직조한다. 이분법이다. 사상의학도 주역의 자손이다. (태양,태음,소양,소음은 주역에서 나오는 용어다, 큰 양 /작은 양/ 큰 음/ 작은 음). 현상 귀에 이를 지배하는 실체(substance)가 존..
융합의 눈 - 세계의 시작 1.1 이 세계는 우리에게 주어진다. 우리의 몸, 정신, 언어, 관계, 커뮤니티, 전통, 문화, 사상 우리가 살아가기 위한 초기 세팅(default)은 우리의 의사와 상관없이 혹은 의사에 반해(regardless of or against our will) 선존(先存)한다. The World was given. What we have now such as our body,relationships, minds, communites, culture, traditons, thoughts al most evrything has preoccupied the world around us, regardless of or against our will. 1.2 이 세계의 선존성을 이해하는 도구는 우리에게 내장되어 있다...
애착 유형과 명식에서의 인성의 관찰 애착 유형과 명식에서의 인성의 관찰 애착 유형은 심리학자 벨에 의해 발견된 아이가 엄마와 맺는 인간 관계의 심리적 특징을 바탕으로 구분한 것으로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안정 애착(Secure Attachment) : 연구대상의 65%정도. 주위를 탐색하기 위해 어머니로부터 쉽게 떨어짐. 어머니와 분리되었을 때, 능동적으로 위안을 찾고 다시 탐색과정으로 나아감. 어머니가 돌아오면 반갑게 맞이하며 쉽게 편안해짐 회피애착(Avoidant Attachment) : 20%정도.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추구하지 않으며, 낯선 사람과 어머니에게 비슷한 반응을 보임 저항애착(Resistent Attachment) : 10~15%. 심한 분리불안을 보임. 어머니가 돌아오면 접촉하려고 시도는 하지만, 안아주어도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