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8)
홍길주 - 사서와 육경 속 논어의 위치 3.2 시라카와 시즈카는 에 대한 텍스트 비평적인 관점에서 의 자료를 8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그는 이것을 유가사상의 추이와 관련지어 설명하는데, 1자료는 공자의 망명기간에 고행을 함께한 자로,안회,자공, 염유등의 자료로, 공자사후에 복상하는 기간에 기록을 정리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자공의 자료를 2자료, 공자의 사후 교단이 분열되어 자유,자하,자장의 세유파가 대립하던 시기의 자료를 3자료, 맹자시대까지 이어진 유자와 증자의 대립시기의 자료를 4자료, 공자의 일상생활을 의례화한 편의 자료를 5자료, 직하학파의 손을 거친 듯한 편의 자료를 6자료, 고대의 제왕,일민을 주제로 한 자료와 편등의 자료를 7,8자료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는 반드시 시대적인 구분을 따르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3.2.1 시라카와..
홍길주 - 논어를 바라보는 관점을 중심으로 3. 1. 에 등장하는 논어의 구절은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사실은 앞서 언급했다. 그리고 그것은 구절뿐만이 아니라 의 구분으로도 제한적인데 논어 전편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지 않다. 3.1.1 방필에 6목, 연필에 7목, 난필에 8목, 난필 속에 6목으로 가운데 논어는 매우 일정한 비율로 인용이 되고 있다. 우리는 이것을 하나의 지표(index)로 생각할 수 있다. 다시말해, 공자가 자신의 제자들을 가르칠 때 를 하나의 이상적인 커리큘럼 과목으로 상정한 것과 동일하게 항해에게 있어 사유의 핵이라 할 수 있는 부분에 가 자리잡고 있다는 가정 말이다. 3.1.2 논어의 구절이 아닌 라는 텍스트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항해의 평이 등장하는 것은 의 71목과 72목이다. 나는 여러 경전 가운데 유독 를 가장 으뜸가는..
홍길주 - 수여삼필 속 논어를 중심으로 1.1 이 논문은 움베르토 에코의에 예시된 논문 작성법에 따라 작성될 연구논문의 초안으로서 기획된 것이다. 1.2 이 논문은에 나타난 항해 홍길주의 논어 해석을 바탕으로 항해 자신이 쓰지 않았던 또는 와 같은 형식의 글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해 갈 것이며, 그러한 가상적인 텍스트 정립의 기초를 마련코자 한다. 1.3 항해는 경전의 주석을 남기지 않았다.따라서 이러한 가상적인 텍스트 창작을 시도하는 것은 작가의 의도에 반하는 일일 수도 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텍스트의 존재유무를 떠나 홍길주라는 인간의 그러한 가상적인 텍스트가 존재했을 것이라는 가정은 타당성이 있다. 그가 비록 체계적인 저술은 하지 않았으나 에 산재하는 논어에 관한 그의 코멘트를 바탕으로 생각해 볼 때, 논어에 관한 깊이있고..